안녕하세요. 지유입니다. ^^
오늘은 세컨더리 도미넌트 (Secondary Dominant)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세컨더리 도미넌트, 이 용어 자체는 들어보신 분들도 많으실 거예요.
non-diatonic 코드이지만 우리가 자주 듣는 가요,CCM, POP에도 굉장히 많이 쓰입니다.
오늘은 세컨더리 도미넌트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세컨더리 도미넌트 (Secondary Dominant)
세컨더리 도미넌트를 알기 위해서는 다이아토닉에 대해 먼저 이해를 하셔야 합니다.
재즈, 팝 , 가요 작곡 및 즉흥연주, 반주 할 때 반드시 알아야 하는 두가지 (조표, 곡의 장조와 단
안녕하세요. 지유입니다. ^-^ 작곡, 즉흥연주, 장르 구분 없이 반드시 알아야 하는 2가지가 있습니다. 조표와 다이아토닉 코드 스케일 (Diatonic Chord Scale) 인데요. 조표와 다이아토닉 코드 스케일을
jiyoupiano.tistory.com
자 오늘도 역시 C key로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
C diatonic chord scale을 보실게요. !!
여기서 도미넌트는 무엇이었죠?
바로 5도인 G7입니다.
도미넌트 모션 (Dominant Motion), 즉 5도에서 1도를 가는 진행 (Dominant -> Tonic)은 긴장감에서 해소가 되는 가장 강력한 코드 진행입니다.
[재즈 피아노/피아노 레슨] - 도미넌트는 왜 토닉으로 가고 싶어 할까?
그 Key의 5도인 도미넌트는 Primary Dominant라고 합니다.
이 도미넌트에서 토닉으로 해결되는 진행이 너무 좋으므로 각각의 다른 diatonic chord들에 완전 5도 위의 dominant 7 코드를 앞에 오게 하여 완전 5도로 마치 해결되는 느낌을 주게 하는 코드들이 바로 이 secondary dominant 코드입니다.
글로 보기만 하면 헷갈리실 수가 있으니 보기와 함께 하나하나 설명드릴게요. ^^
프라이머리 도미넌트에서 토닉으로 가는 진행은 세컨더리 도미넌트가 아니므로 CM7는 빼고 2도인 Dm7부터 보시겠습니다.
Dm7의 1음 D, 즉 '레'음의 완전 5도 위의 7 코드는 A7코드가 됩니다.
A7을 Dm7 앞에 넣으시면 됩니다.
Major Diatonic Chord Scale의 2도 마이너 세븐의 세컨더리 도미넌트의 분석 기호는 V7/Ⅱ라고 합니다.
세 번째 다이아토닉 코드는 Em7, 완전 5도 위의 7은 B7이 됩니다.
3도 마이너 7의 세컨더리 도미넌트의 분석 기호는 V7/Ⅲ이 됩니다.
네 번째 다이아토닉 코드는 FM7으로 완전 5도 위의 7 코드는 C7이 됩니다. 분석 기호는 V7/Ⅳ가 됩니다.
다섯 번째 다이아토닉 코드는 G7으로 완전 5도 위의 7 코드는 D7이 됩니다. 분석 기호는 V7/V으로 더블 도미넌트라고도 부릅니다.
여섯 번째 다이아토닉 코드는 Am7으로 완전 5도 위의 7은 E7입니다. 분석 기호는 V7/Ⅵ입니다.
마지막 일곱 번째 다이아토닉 코드는 Bm7b5입니다. 이 코드의 완전 5도 위의 7 코드는 F#7입니다.
하지만 m7b5코드는 해결 감을 주는 느낌이 없으므로 마지막 일곱 번째 다이아토닉에 대한 세컨더리 도미넌트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렇게 세컨더리 도미넌트 코드는 총 5개입니다.
세컨더리 도미넌트는 non-diatonic음이 포함되어있으므로 non-diatonic chord입니다.
다음 레슨 포스팅에서는 세컨더리 도미넌트에 사용되는 텐션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재즈피아노 > 피아노 레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컨더리 도미넌트가 적용된 곡과 거짓해결 (0) | 2021.10.19 |
---|---|
세컨더리 도미넌트에서 사용가능한 텐션과 스케일은? (0) | 2021.10.07 |
Altered scale, 얼터드 스케일의 텐션은? (0) | 2021.09.02 |
Locrian 9 코드 톤, 텐션, 어보이드 노트는? (0) | 2021.08.24 |
Mixolydian b13 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1.08.11 |